이송민, 심현섭, 이수복, 강진경 (2024). 학령 전 말더듬아동과 일반아동의 부모와의 상호작용을 통한 화용언어능력 특성 종단연구. Communication Sciences & Disorders, 29(3), 653-665.
강진경 (2024). 말소리장애 아동의 다중언어적 평가요소에 따른 철자쓰기 발달 특성. 언어치료연구, 33(4), 001-010.
Younghwa M. Chang, Pil-Yeon Jeong, KyungHae Hwang, Bo-Yeon Ihn, Megan J. McAuliffe, Hyunsub Sim, & Erika S. Levy(2024). Effects of Speech Cues on Acoustics and Intelligibility of Korean-Speaking Children With Cerebral Palsy. Journal of Speech, Language, and Hearing Research, 67, 2856–2871.
김민서, 연석정, 정필연, 홍기형 (2023).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장면 기반 감정상징 인식 및 표현능력. AAC Research & Practice, 11(2), 85-106.
정필연, 심현섭 (2023). 뇌성마비 아동의 인지능력과 수용어휘력 및 말산출능력 간의 관계.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, 28(3), 620-630.
김성진, 강진경, 김영태, 홍기형 (2023). 원격 언어 선별검사의 실시방법에 따른 타당도와 아동의 수행력 및 어머니 만족도 차이 연구. Communication Sciences & Disorders, 28(2), 372-385.
정필연, 연석정, 홍기형 (2023). 디지털 치료제 개발을 위한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: 메타분석.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, 28(1), 1-15.
강혜원, 강진경, 이수복, 심현섭 (2022). 의사소통장애의 평가 및 진단에서 인공지능 적용과 성과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.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, 27(3), 703-722.
강진경, 강혜원, 이수복, 심현섭 (2022). 의사소통 장애 중재에서의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동향 연구. 언어치료연구, 31(2), 107-115.
정필연, 심현섭 (2021). Speech Language Profile Group (SLPG) 분류체계에 따른 뇌성마비 아동의 하위그룹 분포 및 판별요인 분석.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, 26(2), 447- 462.
서새희, 정필연, 심현섭 (2021). Speech cues를 이용한 반복훈련이 뇌성마비 아동의 자음정확도 및 말명료도에 미치는 영향: 단일대상연구. 말소리와 음성과학, 13(3), 79-90.
김선경, 김영태, 강로원, 김동준 (2020). 한국-베트남 다문화가정 아동의 읽기 및 쓰기에 나타나는 한국어 연음규칙 적용 특성과 부모의 한국어 능력과의 상관연구. 언어치료연구, 29(2), 57-71.
정필연, 심현섭 (2020). 경직형과 불수의운동형 뇌성마비아동의 /아/ 모음 음향학적 비교. 말소리와 음성과학, 12(1), 65-74.
정필연, 심현섭 (2020).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하위그룹별 말속도와 쉼의 특성 및 말명료도와의 관계. 말소리와 음성과학, 12(3), 95-103.
백경랑, 강진경, 강로원, 김영태 (2020). 상호작용적 이야기책 읽기를 활용한 조음 중재에서의 의미 및 무의미 자극어 훈련 방법이 취학전기 말소리장애 아동의 자음정확도에 미치는 효과 비교. Communication Sciences & Disorders, 25(4), 905-920.
김선경, 송유하 (2020). 원격 교육을 기반으로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의 부모가 참여한 중재 관련 국외 연구 분석. 발달장애연구, 24(4), 141-166.
김선경, 이소현 (2020). 자폐 범주성 장애 영아 부모를 위한 맞춤형 지원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, 양육효능감, 양육태도 및 어머니-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. 유아특수교육연구, 20(3), 1-31.
강로원, 김영태, 연석정 (2019). Cultural differences on the recognition of social word AAC graphic symbols between Korean and American undergraduate students. Communication Sciences & Disorders, 24(1), 71-86.
김아름, 강로원, 김영태 (2019). 철자 빠른 의미연결 과제를 통한 초등학교 저학년 읽기부진 아동의 철자인식 특성. Communication Sciences & Disorders, 24(4), 881-893.
김영태, 강진경, 김정아 (2019). 아동의 언어능력과 사회정서발달의 관계에 관한 메타분석. Communication Sciences & Disorders, 24(2), 274-287.
이지연, 김영태, 강진경 (2019). 초등학교 2-4 학년 아동의 읽기 자동성 및 운율성과 읽기이해 관계. Communication Sciences & Disorders, 24(4), 894-905.
김선경, 이소현 (2019). 자폐 범주성 장애 영아 부모를 위한 맞춤형 지원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, 양육효능감, 양육태도 및 어머니-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. 유아특수교육연구, 20(3), 1-31.
이영미, 정필연, 성지은, 심현섭 (2018). 혀 강도가 뇌성마비 아동의 말 산출에 미치는 영향.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, 23(4), 1017-1027.
홍새미, 정필연, 심현섭 (2018). 마비말장애 발화의 청지각적 평가방법 비교: 세부평가와 범주 평가.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, 23(1), 242-253.
김영태, 박희영, 강진경, 김정아, 신문자, 김수진, 하지완 (2018). 우리말 조음· 음운평가-2(U-TAP2) 개발을 위한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. Communication Sciences & Disorders, 23(4), 959-970.
정필연, 심현섭 (2017).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음질이 말명료도에 미치는 영향. 말소리와 음성과학, 9(4), 129-136.
정필연, 심현섭 (2017). 경직형 뇌성마비아동의 씹기능력에 따른 말명료도의 변화. 특수교육, 14(1), 63-80.
정지원, 김영태, 강진경, 박희영 (2017). 지적장애 청소년의 비단어 따라말하기와 음운인식 수행능력. 특수교육, 16(4), 89-111.
강진경, 성지은, 김영태 (2017). 과제 유형 및 난이도에 따른 난독아동의 빠른 이름대기 과제 수행 비교연구. Communication Sciences & Disorders, 22(3), 520-529.
김선경, 송유하 (2017). 자폐 범주성 장애 영아 부모를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부모의 양육 효능감과 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. 특수아동교육연구, 19(3), 291-313.
홍새미, 강진경, 엄보라, 김영태, 성지은, 심현섭, 정필연 (2016). 실어증 환자들을 위한 CILT중재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. Communication Sciences & Disorders, 21(1), 162-173.
신미경, 박은혜, 김영태, 강진경 (2016). 장애학생들의 음운인식 및 단어재인능력 향상을 위한 읽기중재: 단일대상 메타분석 연구. 특수아동교육연구, 18(2), 45-75.
정필연, 임동선 (2016). 조음음운장애아동의 음운인식능력과 암묵적 학습능력 간의 관계.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, 21(1), 37-46.
정필연, 심현섭, 정숙회, 임동선 (2016). 경직형과 이완형 마비말장애아동에서 조음속도와 말명료도 및 작업기억 간의 관계. 말소리와 음성과학, 8(2), 41-48.
이수복, 정필연, 이명희 (2015). 뇌성마비 사용자를 위한 ‘날마다 15분 구강운동’ 앱 개발 사례보고. 보완대체의사소통연구, 3(1), 81-90.
임동선, 천성혜, 이여진, 정필연 (2015). 메타분석을 통한 언어발달장애 아동과 일반아동의 자발화 분석연구: 언어발달장애 선별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개발 예비연구. 언어치료연구, 24(1), 57-75.
이영선, 박은혜, 김성민, 이현주 (2015). 의사소통 지원요구 평가를 위한 CSI-CY 내용타당화 연구. 보완대체의사소통연구, 3(1), 57-82.
김선경, 김성민, 성정미 (2015). 발달 및 사회 정서 문제 선별을 위한 K-ASQ와 K-ASQ:SE의 결과 분석-서울시 유아 소재 어린이집 유아를 대상으로. 유아특수교육연구, 15(1), 101-132.
정필연 (2014). 학령기 뇌성마비아동의 언어치료를 위한 앱 적용 사례. 보완대체의사소통연구, 2(1), 119-126.
정필연, 성지은, 심현섭 (2014). MCI와 치매환자를 위한 인지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.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, 19(2), 199-121.
이소현, 김선경, 김지영 (2014). 지역사회 기관 중심의 자폐 범주성 장애 선별 가능성 탐색. 특수교육, 13(3), 99-117.
김선경, 이소현 (2014).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를 대상으로 부모가 개입한 사회성 및 의사소통 기술 중재 연구 분석-국외 단일대상연구를 중심으로. 특수아동교육연구, 16(1), 25-57.
백미애, 이소현 (2013). 통합어린이집 일과에 삽입된 애정활동이 장애 유아와 또래 간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. 유아특수교육연구, 13(2), 45-69.
김은윤, 박현숙 (2013). 수학동화를 활용한 수학활동이 발달지체유아의 수학성취도, 수학적 문제해결력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. 유아특수교육연구, 13(3), 133-162.
정필연, 심현섭, 임동선 (2012). 상호작용촉진 부모교육프로그램이 취학전 뇌성마비아동과 어머니의 의사소통행동에 미치는 영향, 특수교육학연구, 47(1), 39-62.
정필연, 임동선 (2011). 메타분석을 통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연구: 언어장애아동을 중심으로. Communication Sciences & Disorders, 16(4), 521-539.
송유하, 박지연 (2008). 행동도표를 활용한 긍정적 행동지원이 자폐 유아의 문제행동과 활동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. 정서·행동장애연구, 24(2), 1-25.
강진경, 김영태 (2007). 취학전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음운인식에 관한 연구. Communication Sciences & Disorders, 12(1), 32-51.
김미라, 정남운 (2006). 장애아동 어머니가 자녀의 초등학교 통합직전 느끼는 스트레스에 관한 질적 연구.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, 18(1), 201-216.
이화-자폐아동 행동발달평가도구 개발(E-CLAC)및 출판 - 자폐아동 및 발달장애아동의 행동발달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도구 개발
아동기 자폐증 평정 척도 - 자폐 아동을 진단 분류할 수 있는 CARS(Childhood Autism Rating Scale)번역 출판
Checklist for Autism in Toddler(CHAT)표준화 연구 - 자폐영유아를 조기에 선별하기 위해 고안된 CHAT의 한국어판 예비표준화 작업
우리말 조음ㆍ음운평가의 개발 연구 - 취학전(3세-6세)아동의 조음오류를 체계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검사도구 개발
취학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척도(PRES) 개발 연구 - 2세-6세의 정상아동뿐 아니라, 언어발달지체나 장애를 나타낼 가능성 있는 아동들의 언어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검사도구 개발
영유아 언어발달 선별검사(SELSI) 개발 연구 - 생후 4개월부터 35개월까지 영유아 아동의 의사소통능력 검사도구 개발
수용 및 표현 어휘력 검사 개발 연구 - 어휘력 검사는 아동의 어휘이해력을 평가하는 검사도구로서, 현재 2세-8세까지만 표준화된 것을 18세까지 확대해서 전국적으로 표준화 작업